"눈벌레"가 날 때 첫 눈이 가까워? 홋카이도의 겨울 풍물시 '설충'의 정체와 이상한 생태|Domingo

"눈벌레"가 날 때 첫 눈이 가까워? 홋카이도의 겨울 풍물시 '설충'의 정체와 이상한 생태

역사

생활

겨울을 즐기다

/

홋카이도

홋카이도의 가을 하늘에 부드럽게 춤추는 「눈충」. 그 모습을 보면 「슬슬 첫 눈일까」라고 느끼는 사람도 많은 것이 아닐까요. 사실 이 '눈벌레'는 공식적인 이름이 아니라 그 정체는 도대체 무엇일까요? 또, 홋카이도민 중(안)에서 자주 소문되는 「눈충이 날 때 첫눈이 내린다」는 사실인가? 그 진상을 알기 쉽게 소개합니다.

눈충의 정체는 '도도네오오와타무시'

일반적으로 '눈벌레'라고 불리는 것은 사실 '토도노네오오와타무시'라는 진딧물의 일종입니다. 성충이 되면 왁스 모양의 하얀 솜털을 모아 푹신푹신과 날아가기 때문에, 「눈과 같은 벌레」로서 「눈충」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설충 토도노 네오

토도노네오오와타무시는 봄에 야치다모라고 하는 나무로 태어나, 여름부터 가을의 시작에 토도마츠에 살고 있습니다. 토도마츠로 수액을 피우면서 1년 동안 몇 번이나 세대 교체를 하고, 가을의 끝에 날개가 난 성충이 야치다모로 이동합니다. 즉, 우리가 보고 있는 눈벌레의 모습이란, 토도노네오오타무시의 성충이 토도마츠에서 야치다모로 이동하고 있는 도중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설충 토도노 네오

약한 곤충만의 이상한 생존 전략

토도노네오오와타무시는 「약한 곤충」으로 알려져 있어 외적에 대항하는 수술을 가지지 않고, 점점 포식되어 버립니다. 그러나 그것에 대항하는 큰 특징이 '간모'라고 불리는 형태를 가지는 것.

설충 토도노 네오

탈피를 반복해 가는 동안에 「간모」라고 불리는 암컷이 되어, 그 암컷이 자신과 같은 유전자의 클론의 암컷의 유충을 낳고, 그 유충도 클론을 낳는 것으로 증식. 1마리의 암컷이 약 150마리의 유충을 낳기 때문에 포식되면서도 그 이상으로 계속 낳는 것으로 지금까지 생존해 왔다는 뜻입니다.

설충 토도노 네오

  • 1
  • 2
  1. 편집부기사
  2. "눈벌레"가 날 때 첫 눈이 가까워? 홋카이도의 겨울 풍물시 '설충'의 정체와 이상한 생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