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부기사
눈이 내리면 달리는 삿포로의 사사라 전철은 겨울의 대표적인 풍경 중 하나다. 하지만 도외의 사람들에게는 거의 생소한 이 사사라 전철은 도대체 어떤 전철일까?
사사라 전철은 대나무 사사라 다발을 장착한 제설 전용 차량이다.

열차 앞뒤 하단에 달린 것이 사사라 다발이다.
사사라 전철은 노면전차가 달리는 궤도를 제설하는 전철이다. 손님은 탑승할 수 없고, 운전사와 제설용 사사라를 조종하는 스태프 2명이 탑승해 달리는 제설 전용 전철이다.
그런데 사사라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사사라는 대나무 솔을 말한다. 주방 용품으로 냄비에 묻은 때를 닦을 때 사용하는 것과 같은 사사라다. 대나무는 탄성이 있어 레일을 손상시키지 않고 궤도 위의 눈이나 얼음을 튕겨내는 역할을 합니다.
다이쇼 시대와 변함없는 제설 방법

사사라 열차의 하부. 사사라는 도호쿠 지방의 대나무를 사용하고 있다.
다소 아날로그적인 제설방법으로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사실 이 제설방법은 100년이 넘도록 거의 변하지 않았다고 한다. 사사라 전차가 등장한 것은 다이쇼 시대 후기. 부엌에서 사용하는 대나무로 만든 사사라에서 힌트를 얻어 탄생했다고 한다. 그 후 다른 제설 방법을 시도한 적도 있지만, 결국 사사라가 가장 좋다는 결론에 도달했고, 현재도 기본적인 구조는 다이쇼 시대 탄생 당시와 크게 다르지 않다.
사사라 열차는 사사라를 하나하나 나무 틀에 박은 후 롤러 모양으로 고정시켜 열차 앞뒤 하부에 설치하는데, 1량당 사사라 개수는 앞뒤 합해 800 묶음이다.

사사라 설치는 모두 수작업으로 이뤄진다고 합니다.
여러 번 운행하다 보면 사사라가 많이 닳기 때문에 보통 한 시즌에 2~3번은 사사라를 교체한다고 한다. 특히 최근 몇 년 동안은 눈이 가루눈이 아닌 딱딱한 눈이 많아 사사라에 부하가 걸리기 쉬워 교체 횟수가 더 많아졌다고 한다.
- 1
- 2